국회의원 후보 선택기준 (이상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상진 작성일16-04-01 20:54 조회5,616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국회의원 후보 선택기준
몇 일 후면 국회의원 선거 날이다. 과연 어떤 후보를 선택할 것인가? 모 일간지에서 후보선택기준에 대한 여론조사를 한 결과 많은 유권자가 “후보의 자질”을 보고 선택하겠다고 했고, 자질 중에서는 “도덕성”이 제일 중요하다고 대답했다는 보도가 있었다.
그러나 후보의 자질을 유권자가 식별하기는 어렵고, 도덕성도 탈락시킬 일부 후보를 골라낼 수는 있지만, 당선시켜야 할 후보를 선택하는 측면에서는 도덕성을 판단하기가 매우 모호하다. 따라서 “후보의 자질”이니 “후보의 도덕성”이니 하는 것은 특정 사건에 대해 일시적으로 북받치는 감정을 표출하는 수단으로 말 할 수는 있지만, 국회의원을 선택하는 일반적이고 올바른 기준은 될 수 없다고 본다.
그러면 투표할 후보를 선택하는 기준은 어떤 것이 적합할까? 그에 대한 답은 국회의원이 하는 직무가 무엇인지를 따져보면 찾을 수 있다. 국회의원은 “국가가 외침으로부터 안전하고, 사회는 질서가 유지되고, 국민은 적절한 가정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직업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되는 법을 만드는 것”이 본분이다.
이와 같이 “국가와 사회와 국민을 위한 법”을 만드는 것은 국회의원 개인보다는 어떤 정당이 방침이 정해져야 이룰 수 있는 일이다. 따라서 국회의원을 뽑는 기준은 그 후보가 소속한 정당의 정강정책을 보고 판단함이 옳다고 본다. 어떤 정당이 집권정당이 되었을 때 그 정당의 정강정책이 무엇이냐에 따라 국가의 장래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선거 때마다 각 후보나 각 정당이 내 놓는 공약은 일시적으로 유권자를 유혹하기 위한 신기루요 마약이다. 선진국에서는 각 정당이 나라를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에 대한 정책으로 유권자의 선택을 얻지만, 후진국에서는 각 정당이 각종 포퓰리즘을 양산하고, 언론은 비판 없이 포퓰리즘을 부추기고, 유권자는 그 포퓰리즘에 현혹되기 때문에, 선거를 거듭할수록 남미와 같이 나라는 점점 쇠락의 길로 들어서게 된다. 공약이 아니라 정당의 정강정책을 보고 후보를 선택해야만 나라의 미래가 약속 된다.
이상진 (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