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고질적인 병폐-병역기피 (stallon) > 최근글

본문 바로가기

System Club 시스템클럽

최근글 목록

대한민국의 고질적인 병폐-병역기피 (stallon)

페이지 정보

작성자 stallon 작성일15-10-20 11:44 조회6,535회 댓글1건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본문



세계에서 병역 의무제를 유지하는 나라는 대표적으로 우리 대한민국을 비롯하여 이스라엘 ,대만, 태국, 중국 등 약 70여개국가가 있다.

위 병역 의무제를 채택하고 있는 나라들 중에서도 한국은 유일한 분단국인 것이다. 우리와 근 70 여 년 간 총부리를 겨누고 있는 북한 공산집단은 현역병만도 120만을 넘으며 어마어마한 비대칭 무기로 무장하고 허 구 한날 무력시위를 해대고 있는 것도 모자라 최근엔 핵무기까지 개발해대며 세계인들을 불안하게 하고 있는 실정이다.

병역의무를 이행해야 되는 연령대가 20대 초반이기 때문에 한창 인생을 혈기왕성하게 설계해야 될 젊은이들에겐 병역의무가 큰 짐이고 장애가 돼오고 있는 게 사실이지만 그래도 국가와 국민을 위하는 투철한 애국신념 하에 우리 대한민국의 청년들은 건국이후 오랜 세월동안 묵묵히 그 의무를 다 해오고 있다. 그러나 반대로 소위 사회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는 자리에 있는 자들이 물론 다는 아니지만 본인은 물론 그 자식들의 병역의무 까지 기피하고자 온갖 수단과 방법을 다 쓰고 있음이 비일비재한 것이 사실이다. 이들은 가증스럽게도 애국 또는 노블리스 오블리제(Noblesse Oblige) 라는 단어를 누구보다도 많이 사용한다. 이는 표리부동의 대표적인 예인 것이다.

지도층의 노블리스 오블리제 얘기만 나오면 나는 기억나는 게 있다. 바로 6.25동란 때 본인은 물론 자신들의 아들들까지 치열한 전투현장에 투입했던 미국군 장군지휘관들의 얘기이다. 당시 미대통령 당선자 아이젠하워와 워커, 벤프리트, 크라크 장군들이 그 대표적인 군인들이다. 미국 현역 장군들의 사랑하는 아들들이 142명이나 코리아의 전선에서 전투를 했고 그중에서 35명의 장군의 아들들이 장렬하게 전사하였다. 당시 미8군 사령관 워커 중장 본인은 1951년 크리스마스 이틀 전 의정부전선에서 짚차 전복사고로 전사하였다. 이 얘기는 우리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가슴깊이 간직해야할 소중한 교훈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국의 국방을 위하여 모두에게 평등하게 지워진 병역의무를 오직 개인의 영달을 위하여 면탈하려함은 어불성설이고 국가배신행위라 정의할 수밖에 없다. 최근에는 한 중량급 정치인의 아들의 병역기피문제로 온 나라가 시끄럽다. 신체적 결함 때문에 병역을 면제 받았다는데 제출 되었던 관련 의학적 증빙자료에 대한 세간의 의혹이 증폭되면서 마침내 송사에 휘말리고 있다. 현재 그에 대한 재판이 진행 중이다. 면제자 장본인인 권력자의 아들은 법원의 출두 명령을 받고 있는데 현재 영국에 체류하고 있는 당사자의 행방이 알려지고 있지 않다한다. 지나가는 소가 웃을 일이다. 문화가 다르고 국민성이 다른 상황에서의 결과라 너그럽게 차치하더라도 이름도 몰랐던 코리아라는 조그만 나라를 구해주기위하여 전투를 하다 전사한 미국군 장군들의 아들들도 있는데 그것도 평시에 내나라 국방을 위해서 모든 국민이 다 해내는 병역의무를 피하고자 온갖 작태를 부린다니 이거야말로 천벌을 받을 일이다. 권력을 가진 자나 가진 자들의 못된 국가 배신행위의 전횡이 끊이지 않는 한 대한민국의 미래는 없다고 장담한다.

A Korea's Chronical Malady- Evasion of Military Service

There are about 70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Israel, Taiwan, Thailand and China in the world who have adopted a military draft system . Among those who maintain the conscription system, the Republic of Korea is the only divided nation.Two Koreas have maintained an ever sharp standoff for the 62 years since the Armistice Agreement was signed in1953.

The NK communist regime has continuously built up their armament scale and strength that exceeds more than 120 million active troops plus unparalleled asymmetric weaponry. Such heavy build-ups, especially in light of their nuclear saber-rattling, have become a significant threat not only on Korean peninsula but also towards the freedom loving countries in the world.

As the youths have to perform the military service obligation in their early twenties, it is true that the period of military service has been the key disrupt in mapping out their lives. Nevertheless, the average young people in Korea have proudly carried out given duties for their country and their people. However, to the contrary, it is a common occurrence in our society that quite a few socially influential figures have dodged conscription not only for themselves but for their sons. Surprisingly these people openly tend to use flowery rhetoric that includes such words as patriotism and noblesse oblige. This demonstrates that they speak with forked tongues.

When it comes to noblesse oblige of the social leaders, I am compelled to remember the great story stemmed from the US general officers who served during the Korean War, who voluntarily let their beloved sons participate in the bitter combat in Korea. The generals we salute are then the US President-elect, Eisenhower, General Walker, Van Fleet and Clark. It was disclosed that 142 beloved sons of the US general officers took part in the Korean campaign and 35 of them lost their lives. General Walton Harris Walker died in the automobile accident at Uijeong-bu, north of Seoul on December 23, 1951. The story should be preserved and remembered by all Koreans as a grave lesson forever.

Military service is an obligation equally given to every youth for the national defense. If anyone attempts to evade the conscription duty for individual interests, it is an unequivocal betrayal of his country. Recently our entire nation is experiencing a public controversy due to the widespread suspicion that a high ranking politician's son attempted to dodge the draft. It was known that the politician's son was exempted from the active military duty. However, the youngman currently faces a lawsuit owing to his suspicious medical documents including relevant X-rays submitted in order to be exempted from the active duty. The son of the influential politician who now stays in London was summoned to appear in the court. In the meantime, his father was quoted as saying that his son's whereabouts in London are still unknown to this date, which has made him the laughing-stock of the country.

Apart from the cultural differences and national characteristic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e have clearly acknowledged the fact that even 142 US general officers' beloved sons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Korean Conflict in order to save a tiny country located in the far east that they hadn't ever known of. Nonetheless, the truth is that here, there are still quite a few people trying to avoid the compulsory military service required to defend their own nation even in peace time. This is our real shame. Those who have already done so deserve divine punishment. I am certain that no Koreans can expect a better future unless such betrayals conducted by part of the social leaders and the haves are completely eradicated.



6.25 동란시 한국을 방문하여 전방 시찰에 나서는 아이젠하워 미대통령 당선자( The United States President -elect, Dwight D. Eisenhower visited Korea during the Korean War and inspected forward units)

한국전당시 미8군 사령관. 1951 12. 23. 전방 시찰도중 의정부 인근에서 교통사고로 전사.( General W. H.Walker,the US Eigth Army Commander during the Korean Conflict,
who died  in the automobile accident on December 23, 1951 at Uijeonbu,Korea, north of Seoul on his way to the forward units)

밴프리트 미 8군 사령관(General A. Van Fleet)

크라크 장군이 정전협성 서명을위하여 판문점에 앉아있는모습( General Clark seated at  Panmunjom to sign the Armistice Agreement in 1953)

2010년 6월 23일 미8구 용산영내에서 거행된 고 워커장군 동상 제막식모습.(A statue unveiling ceremony for the late General W. H. Walker was held in the US Eigth Army compound on June 23. 2010 )

댓글목록

stallon님의 댓글

stallon 작성일

외국사이트에 기고된 내용이라 영문이 함께 포함되어 있음을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최근글 목록

Total 14,201건 234 페이지
최근글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7211 광주신부 등 5명의 고발행위는 코미디의 극치 지만원 2015-10-21 8684 322
7210 친일타령 혓바닥을 개작두로(Evergreen) 댓글(2) Evergreen 2015-10-21 7229 304
열람중 대한민국의 고질적인 병폐-병역기피 (stallon) 댓글(1) stallon 2015-10-20 6536 176
7208 “천주교 광주대교구 정평위“는 종북충성 조직 지만원 2015-10-19 9006 329
7207 광주시민은 언제 테러 훈련을 받았는가?(Evergreen) Evergreen 2015-10-19 6589 335
7206 [자료]푸른눈의 광수에 나온 신부들 김제갈윤 2015-10-18 7470 174
7205 고발장 초안(광주 신부 5명) 지만원 2015-10-18 6531 261
7204 고소장 초안(박남선, 심복례) 지만원 2015-10-17 8166 336
7203 [역사전쟁] 제214광수(女) 포착되었습니다! 댓글(2) 기재 2015-10-17 6263 186
7202 [역사전쟁] 제213광수 포착되었습니다! 기재 2015-10-17 5751 168
7201 붉은 교과서의 공격(Evergreen) Evergreen 2015-10-16 6561 320
7200 구제불능의 광주 인종들과 마지막 싸움 할 것 지만원 2015-10-16 7830 457
7199 2015.10.13일 보신각 대국민집회 (동영상) 시스템뉴스 2015-10-16 7056 179
7198 10월의 3목(10.16) 강의는 없습니다. 지만원 2015-10-14 5500 113
7197 북한에서 등교 시 확성기로 들려주던 5.18노래 지만원 2015-10-14 8056 275
7196 5.18역사전쟁 집회 성공적이었습니다. 지만원 2015-10-14 7534 333
7195 5.18 역사 바로잡기 구국집회 / 뉴스타운 관리자 2015-10-13 6200 183
7194 5.18 민주화운동은 폭동/ 아시아경제 관리자 2015-10-13 6441 217
7193 5.18 역사바로잡기 구국집회 / 연합뉴스 관리자 2015-10-13 6154 218
7192 5.18 광주사태의 새로운 발견 지만원 2015-10-13 8860 407
7191 10.26과 5.18은 한 세트의 기획물 지만원 2015-10-12 9188 312
7190 고영주는 영웅인가? 간웅인가?(Evergreen) Evergreen 2015-10-12 7203 275
7189 푸른눈의 목격자에 사기당한 대한민국과 국제사회 지만원 2015-10-11 8757 309
7188 탈북자 광수들, 지만원 제거하려 말고 양심고백하라. 지만원 2015-10-11 10210 300
7187 국군열병식 없애고, 북한군 열병식 보라는 박근혜 지만원 2015-10-11 8786 377
7186 안보직무 유기하는 정부에 대한 규탄서 지만원 2015-10-10 8175 398
7185 두 사람의 양심선언 시간을 기다릴 것이다! 지만원 2015-10-09 9872 346
7184 고영주는 약싹바른 박근혜 키드일 뿐 지만원 2015-10-09 11249 419
7183 10월 13일(화), 20만 애국자 기다리겠습니다! 지만원 2015-10-08 7113 302
7182 세브란스는 병역부정 산실인가? (海眼) 댓글(2) 海眼 2015-10-08 6611 257
게시물 검색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지만원의 시스템클럽 | 대표자 : 지만원 | Tel : 02-595-2563 | Fax : 02-595-2594
E-mail : j-m-y8282@hanmail.net / jmw327@gmail.com
Copyright © 지만원의 시스템클럽. All rights reserved.  [ 관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