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통일과 베트남 통일(만트스) > 최근글

본문 바로가기

System Club 시스템클럽

최근글 목록

독일 통일과 베트남 통일(만트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지만원 작성일21-08-20 15:51 조회3,193회 댓글0건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본문

                    독일 통일과 베트남 통일

글쓴이 만토스

 

독일은 통일 전 내부의 을 철저히 소탕

 

자유민주주의 정체성 확립: 독일연방공화국의 존립과 자유민주주의적 기본질서를 파괴하는 세력에 대한 형법, 헌법보호법, 사회단체규제법, 테러저지법 등 다양한 국가안보법제와 함께 연방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확립된 기본 원칙들을 마련해 놓고 있다. 빌리브란트 총리 재임 당시인 1972년에는 급진주의자들에 대한 결의’(일명: 급진주의자 훈령)를 헌법보호 조치로 채택, 위헌(違憲)세력이 공공부문에 침투하는 것을 봉쇄했다. ‘급진주의자 훈령은 헌법상의 자유민주주의적 기본질서를 옹호 한다는 보증을 제시하는 사람만이 공직(公職)에 임용될 수 있고, 공무원은 직무 내외를 막론하고 자유민주주의적 기본질서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할 의무를 갖는다는 정신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 훈령에 따라 독일민족당(NPD)과 같은 극우급진정당 및 공산계열의 정당과 사회단체 조직체들의 구성원들은 연방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 없이도 공직부문 임용이 저지됐다.

 

좌익세력 공직채용 철저 배격: 일례로 좌익 학생운동 조직이 상당한 세력을 확보하고 있었던 19728월부터 19762월까지 서독과 서베를린에서는 총 428명의 공직지원자가 자유민주주의적 기본질서에 대한 충성심에 의혹이 있다는 사유로 임용에서 배제됐다. 독일은 1987년까지 약 350만 명의 취업희망자의 적격성을 심사해 약 2250명에 달하는 위헌성분 지원자들의 임용을 거부하는 기록을 남겼다. 이미 취업한 사람도 반체제(反體制) 성격의 좌익단체나 그 위장단체에서 활동한 사실이 밝혀지면 대부분의 경우 해임 조치를 당했다. 이 같은 조치는 공공 부문의 단순 노무직이나 계약제 사무직에게까지 적용됐다. ‘급진주의자 훈령은 독일 통일 후 동독 공산주의 체제의 붕괴로 좌익급진주의의 위험이 사라지자 19911231일 바이에른 주()를 마지막으로 폐지됐다.

 

베트남 적화통일 전 자유월남은 내부의 소탕에 실패

 

정보기관 무력화: 67년 대선(大選)에서 차점으로 낙선한 쭝딘쥬와, 당시 모범적인 도지사로 평판이 자자했던 녹따오를 위시한 많은 정치인·관료들이 모두 공산 프락치였음이 알려진 것은 월남 패망 후의 일이었다. 반면 월남에서는 군사 쿠데타가 벌어질 때마다 대공(對共) 전문가들이 쫓겨나는 바람에, 월남 대공기관과 정보기관은 형해(形骸)만 남아버렸다. 그들은 대()월맹 정보 수집은 말할 것도 없고, 심지어는 월남 내부에 침투한 공산 프락치 검거조차도 무기력했다. 한 나라를 망하도록 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무엇보다도 그 나라의 정보기관부터 무력화시키는 것이다. 지금 우리나라 정보기관과 대공기관이 정권의 부침(浮沈)에 따라 평지풍파를 겪으면서, 결국에는 간첩하나 못 잡는 이빨 빠진 고양이로 전락한 사실을 나는 너무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월남 패망 당시, 외적(外敵)이 아니라 내부의 갈등으로 인해 무너지는 모습과 너무나 흡사하기 때문이다.

 

평화체제 美軍 過信: 휴전협정 이후 월남은 월맹보다 경제력은 물론 군사력에서도 월등히 앞서 있었다. 그래서 월남 지도부와 국민들은 상황을 너무도 쉽게 낙관했다. 그럴 리야 없겠지만, 만의 하나 월맹군이 도발하더라도 즉시 미국의 해공군이 개입하여 북폭을 재개할 것이고 이후 대()월맹 경제 원조도 중단하면, (당시) 세계 4위를 차지할 정도로 월등한 월남군 기동력과 화력으로 월맹군의 공세에 당연히 맞설 수 있다고 믿었다. 따라서 그 누구도 공산군이 남침하리라고 믿지 않았다. 오랜 전쟁 후에 온 휴전 체제에서 평화를 거부하는 사람은 없었고, 그래서 국방과 안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람은 전쟁에 미친, 혹은 정신 나간 사람 취급을 받았다. 결국 그 믿음이 국방을 소홀히 하도록 하였고, 내부적으로도 극심한 정쟁의 원인을 제공한 것이다. 

 

 

종교 시민단체 좌경화: 한편 이 무렵 월남에서는 천주교의 짠후탄 신부, 불교계의 뚝드리꽝 스님 등이 모여서 구국(救國) 평화 회복 및 반()부패 운동 세력이라는 단체를 결성해 활동하고 있었다. 이 산하에 사이공대학 총학생회, 시민단체들이 연합하여 일종의 시민연대를 구성하고, 반부패 운동에 나섰다. 그러나 문제는 이 순수한 반부패 운동 조직에 공산당 프락치들이 대거 침투하여, 거대한 반정부·반체제 세력으로 변질시켜 버렸다는 점이었다. 휴전협정이 체결되어 미군과 한국군이 철수하자, 사이공에는 100여 개의 애국단체, 통일 운동단체들이 수 십 개의 언론사를 양산하여 월남의 좌경화 공작에 앞장섰다. 목사, 승려, 학생 그리고 좌익인사들이 한데 뒤섞여 반전운동, 인도주의 운동, 순화운동 등 상상할 수 있는 그 모든 운동단체들을 총동원하여 티우 정권 타도를 외치고 반정부 시위를 벌였다. 1975년의 월남은 월맹 정규군의 무력침공과 베트콩의 게릴라전에 패배한 것 이상으로 이들 100여 좌익 단체의 선전전에 속수무책으로 당했던 것이다. 계층 간 갈등이 조장됨으로써 공산 프락치들의 활동공간은 점점 넓어져 갔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목록

Total 14,197건 56 페이지
최근글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12547 재판부에 드리는 감사의 말씀 지만원 2021-09-04 4524 331
12546 5.18 답변서 인쇄 완료 지만원 2021-09-02 4013 263
12545 [5.18 답변서] 월요일부터 배송 지만원 2021-09-01 3667 251
12544 지금도 나는 작업 중 지만원 2021-08-31 4007 271
12543 내 사건은 [대등재판부]가 다뤄 지만원 2021-08-31 3418 222
12542 5.18답변서 최종 표지 지만원 2021-08-31 3952 181
12541 북한은 광주현장을 찍어 1980년에 기록영화 만들어 지만원 2021-08-31 3873 171
12540 “전두환 국가장 배제법” 지만원 2021-08-31 3930 231
12539 5.18 답변서 내일 인쇄 들어가려나 ~ 지만원 2021-08-31 3152 184
12538 [5.18답변서] 출간의 산고 지만원 2021-08-30 3422 209
12537 개구멍 생리 최재형, 윤석열보다 더 더럽네~ 지만원 2021-08-29 4306 273
12536 5.18에 무릎꿇은 최재형 개자식 지만원 2021-08-28 4372 258
12535 [5.18 답변서] 소개 글 지만원 2021-08-28 3394 132
12534 수정된 답변서 표지 지만원 2021-08-27 3225 160
12533 이준석의 국민의힘은 프롤레타리아 정당인가? 댓글(2) 비바람 2021-08-25 3711 163
12532 5.18진실규명조사위원회 구성과 파행적 업무수행 이유 지만원 2021-08-26 3138 134
12531 5.18관련 재판 광주법원이 독점하는 이유 지만원 2021-08-26 3381 148
12530 4국연맹(Quadruple Alliance) 시대의 시동(9월호의… 지만원 2021-08-23 3827 295
12529 회원님들께 드리는 9월의 인사말씀 지만원 2021-08-22 4263 287
12528 박정희 신화 지만원 2021-08-22 4132 227
12527 국민의힘에 지도자가 없다, 어디로 갈 것인가. 댓글(4) 비바람 2021-08-21 4213 205
12526 월남 패망 현장목격자의 악몽 지만원 2021-08-20 4369 213
열람중 독일 통일과 베트남 통일(만트스) 지만원 2021-08-20 3194 141
12524 5.18답변서 표지 지만원 2021-08-20 3322 147
12523 조갑제의 반국가 행위 정리 지만원 2021-08-20 6589 293
12522 조갑제는 위장보수 프락치, 종결 증거(만리경) 지만원 2021-08-20 3589 172
12521 탈북자들의 위험한 가면(장진성과 12명) 지만원 2021-08-19 3623 163
12520 광주 출신 고소자 박영순 지만원 2021-08-19 7351 155
12519 국가 없는 설움, 상상해 본 적 있는가? 지만원 2021-08-18 4017 303
12518 2021.7.19. 뉴욕타임즈 기사 원문 지만원 2021-08-17 3626 184
게시물 검색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지만원의 시스템클럽 | 대표자 : 지만원 | Tel : 02-595-2563 | Fax : 02-595-2594
E-mail : j-m-y8282@hanmail.net / jmw327@gmail.com
Copyright © 지만원의 시스템클럽. All rights reserved.  [ 관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