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년 반 전에 적은 7광구 글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철수 작성일24-09-27 09:20 조회7,238회 댓글4건관련링크
본문
제 7 광구
많은 석유와 천연가스가 있는 것으로 탐색이 되는 7 광구 위치입니다.
저 해저를 서로 독점할려고 한국과 일본이 씨름하며 낭비한 세월이 50 년인데, 이제
공동개발하고 공동소유로 절반씩 배분하여 양국 경제에 큰 전기를 맞기를 기대합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중국의 참견도 배제할 수가 있겠습니다..
댓글목록
jmok님의 댓글
jmok 작성일
인류가 생존하는 한 에너지 확보는 생존의 필수 조건입니다.
7광구를 일본과 협업하여 한-일간 좋은 결과가 있기를 기대합니다.
갑자기 튀어나온 지구 온난화가 석유류 연소시 발생하는 이산화 탄소 개스가 주범이라는 주장에 납득이 가지 않으며, 여전히 인류는 석유에너지를 사용하지 않으면 생존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지구 온난화의 주 원인은 인류가 사용하는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 쓰는 전력의 2.5배나 되는 폐열을 대기에 방출할 수 밖에 없으며(에너지 100을 투입하여 28%를 전력으로 이용하고, 72%는 지구에 내다 버리는 열량인데 회수할 방법이 없음), 사용되는 에너지 28%는 대기방출 손실 72%를 감수하면서도 원자력 또는 석유에너지를 사용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것이 지구상에서의 물리학 적 열평형입니다.(Total Heat Waste 72%에 비하면 연소개스 손실 10%에 함유돤 CO2 방출 영향은 크지 않습니다)
태양광 전력은 단독 사용이 불가능한 에너지 원이므로 기능은 수%의 보조 전력일 뿐, RE100은 과학으로 불가능한 기업에 태양광 강매 사기 구호입니다
김철수님의 댓글
김철수 작성일그렇군요.. 전쟁으로도 열발생이 많다 싶어요..
jmok님의 댓글
jmok![댓글의 댓글](https://systemclub.co.kr:443/skin/board/basic/img/icon_reply.gif)
화약의 폭발로 대기에 방출되는 열량은 지구에 영향을 줄만큼 크지 않습니다
전 세계가 쓰는 1시간당 평균 전력소모 Kwhx 8,760 Hr/년 x 860kcal/kw/0.28 은 연료 100을 투입하여 유효에너지(전력) 28%를 얻고 72%는 폐열로 지구에 방출되는 폐열량이 될것입니다. 이 폐열량이 지구가 태양으로 부터 받는 복사열과는 어떤 관계일까 ? 어느 것이 더 큰가 궁금하다 (태양으로 부터 받는 복사열이 더크고 > 72% 잠열 방열 > CO2 요인이 아닐까 ?)
김철수님의 댓글
김철수![댓글의 댓글](https://systemclub.co.kr:443/skin/board/basic/img/icon_reply.gif)
그렇군요.. 올해 여름은 예년과 다르게 기온이 너무 오래 높아서 여름 끝무렵에 키우는 식물들 잎마름이 생겼는데 지구 기온상승이 본격화되는 건가요? 빙산도 빙하도 극지방 얼음도 녹는다고하고..전쟁으로 유류도 많이 화재되고.. 또 해결책을 마련할지 숙제로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