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 다운 (top down)방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유현호 작성일09-12-28 14:59 조회10,662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연구소에서 어느 과제에 대해 연구를 할 때는 반드시 그 분야의 최근 간행물, 즉 미국에서 발간된 학술간행물과 연구보고서 들을 먼저 조사한다. Literature Survey부터 하는 것이다. 연구하는 분야의 학문적 패러다임부터 파악을 하고 난 다음에 실무 현장에 나가 현실을 분석한다. 학문적 패러다임이 없이 현실진단부터 하면 그 진단은 현실 실무자들의 말들을 대변하는 인터뷰 수준에 불과할 것이기 때문이다. 학문적 패러다임을 알아야 현실에서 발견된 문제들이 어느 패러다임에 속하는지를 알 수 있다. 필자가 기업에 대한 경영진단을 비교적 정확하게 할 수 있는 것도 필자가 학문적 패러다임을 비교적 많이 알고 있기 때문이다. --
인용// 하늘에서 내려온 자 만이 하늘로 올라갈 수 있다.
기의 흐름의 관점에서 보자면,
요가 수행자 혹은 불교의 수행자들이라면 몸 안의 기를 순환 시킬 때
이 구절을 새겨들어야만 하는데요,만일 반대로 수련하면 몸을 파괴 시키고 악의 채널을 여는 수련법이 됩니다.
마찬가지로 어떤 문제에 대해서 예를들면 외국인들의 주식 매매패턴도 마찬가지-탑 다운방식 입니다.
먼저 전체시황 분석, 업종, 종목, 그리고 마지막 차트분석.
조갑제가 인식의 시작을 자신이 직접 눈으로 본 것을 전체로 확대한 예- 다운 탑 방식이
문제라고 볼 수있습니다.
그 결과 조 갑제의 관점, 시작 포인트가 다운에서 시작 , 탑 그리고 마지막 그 방점을 찍는 곳이 자신의 눈(다운)이 됩니다.
요점; 1. 숲에서 시작 ,>> 나무를 보고>> 더 큰 완성의 숲을 그린다.혹은 확장에서 시작,축소 그리고 다시 더 크고 완전한 확장 다시 축소 , 그리고 확장...
반면 다운 탑 방식은 2. 나무에서 시작,>> 숲을 보고>> 더욱 나무에로 고착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어떤 형태이든 진화의 방식은 탑 다운 방식의 프로세스를 갖는다고 보면 됩니다.
*멘탈계에서 물질계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