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환 선교사 ‘북 공작원에 암살’ 뒤늦게 확인
페이지 정보
작성자 천제지자 작성일12-12-07 16:54 조회3,058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김창환 선교사 ‘북 공작원에 암살’ 뒤늦게 확인
한국 정보 당국은 중국 단둥에서 사망한 김창환 선교사의 사인이 ‘북한 공작원들이 쓰는 독극물 중독’이란 사실을 지난해 말 확인했지만 공식 발표를 하지 않았다. 외교통상부는 한국인이 해외에서 의문사한 사안의 정보를 1년이 넘도록 파악하지 못하는 등 재외국민 안전 관리와 대책 마련에 허점을 드러냈다.
◆정보 당국, 여러 루트로 사인 확인=‘공식 의문사’로 남았던 김 선교사의 사인은 탈북자로 위장해 지난해 6월 국내로 들어왔다가 검거된 A씨에 대한 판결문 기록을 통해 확인됐다. 2003년부터 중국에서 공작 활동을 하던 A씨는 2010년 2월 북한 국가안전보위부 지시에 따라 단둥으로 이동, 현지 공작 거점인 북한 식당 지도원과 비상연락체계를 구축한 뒤 한인 교회의 선교활동 상황을 탐문했다. A씨는 김 선교사가 탈북자들을 다수 한국에 입국시켰다는 정보를 얻게 되자 북한군 대좌 출신 탈북자로 행세하며 접근, 그해 3월부터 김 선교사가 운영하는 안가에서 체류했다. A씨의 ‘윗선’은 “김 선교사를 세밀히 관찰하라”고 지시했고, A씨는 한 달 동안 김 선교사의 안가에 머물며 그의 동향을 보고했다.
김 선교사는 지난해 8월 21일 단둥 시내에서 갑자기 쓰러져 사망했다. 중국 공안과 한국 측 영사가 참여한 1차 부검에서는 독극물이 나오지 않았다. 유족들은 베이징으로 옮겨 정밀 부검을 하려다가 시간이 지체되자 결국 김 선교사를 현지에서 화장했다. 국정원 측은 이후 김 선교사 혈흔 분석 내용과 여러 경로로 탐문한 내용 등을 토대로 김 선교사가 북한 공작원들이 사용하는 독극물인 브롬화스티그민 중독으로 사망했을 가능성이 농후한 것으로 판단했다고 한다. 다만 외교통상부 측에 별도 통보는 하지 않았다. 외교통상부 관계자는 “1차 부검에서 독극물이 나오지 않았고 유족들이 정밀 부검을 거절한다는 의사를 밝혔기 때문에 사건을 거기서 종결했다”며 “사인이 확인됐다는 얘기는 처음 듣는다”고 말했다. 정보 당국이 김 선교사의 사인에 대한 자료를 쥐고 있다가 별건으로 재판받게 된 A씨의 행적을 입증할 간접 자료로만 활용한 셈이다. A씨는 지난 3일 1심에서 징역 4년이 선고됐다. 이에 국정원 관계자는 “이 건은 우리가 직접 수사한 바 없다”며 “중국 공안이 관련 수사를 진행 중인데 우리 측에서 먼저 입장을 내놓을 수는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한편 유족 측은 “범인이 아직 잡히지 않은 상태에서 문제가 커지는 것은 원치 않는다. 무엇보다 중국 등에서 활동하는 다른 북한 선교사들의 안전이 걱정된다”고 말했다. 대북 선교단체 관계자는 “단둥 등 국경 지역은 중국이든 북한이든 민감한 지역이라 선교사들도 위험을 무릅쓰고 사역을 한다”고 전했다.
◆‘브롬화스티그민’이란=브롬화스티그민은 부교감신경흥분제로 10㎎만 인체에 투여해도 호흡이 정지되고 심장마비로 즉시 사망하는 맹독성 물질이다. 통상 ‘청산가리’로 알려진 시안화칼륨에 비해 5배나 강한 독성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울중앙지검 공안1부는 지난해 10월 이 독약 성분이 묻어 있는 파커 볼펜형 독침으로 박상학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를 살해하려 한 북한 특수부대 출신 탈북자를 구속 기소했다. A씨 역시 박 대표를 접선하라는 지령을 받고 국내로 잠입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지호일 전웅빈 기자 blue51@kmib.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