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달 동안이나 비워두었던 감사원장과 몇몇 장관 자리를 놓고 겨우 내정한 인물들이 또 다시 국민들의 눈높이를 맞추지 못하고 있어 시끄럽다. 한층 강화된 청와대 자체 인사청문회를 통과했다고는 하나, 보강된 검증시스템에도 ‘국민 정서’는 전혀 반영되지 않은 것이 틀림없어 보인다.
심지어는 청와대 인사비서관 자리도 그 명칭과 직제를 변경해가며 개편해 놓고는 책임자를 임명도 못하고 슬그머니 없애버리는 상황을 연출했으니, 도무지 할 말이 없다. 대통령 임기 내내 인사권을 ‘나홀로’식으로만 강행하다 보니, ‘고집불통 人事, 구제불능 人士’라는 악평을 자초하게 된 셈이다.
어찌 보면 이명박 정부의 조기 레임덕은 집권 초부터 예견된 일이었다. 대통령이 야심차게 발탁한 인수위원회 위원장은 ‘오린지 파동’으로 눈총을 받으며 불명예 퇴장의 신호탄을 울렸고, 첫 내각은 이른바 ‘강부자’ 또는 ‘고소영 내각’이라는 국민들의 조소 속에 휘청거리며 힘겹게 출범했었다.
‘회전문 인사’라든지 ‘돌려막기 인사’라는 비아냥거림은 이제 큰 문제도 아니다. 자리 하나 비워둬도 굴러간다는 그릇된 인식은 건설회사 사장 시절의 경험법칙에서 나온듯하다. 그런 조직에서 출세가도를 달려왔던 대통령이 ‘국민정서’를 알 리가 없다. 그저 충실히 받들고 배운 것은 ‘王회장님 정서’ 뿐이었다.
가뜩이나 느려 터진데다 부적절 인물만 골라 발탁해온 ‘MB 인사법’은 날이 갈수록 성숙해 가는 ‘국민정서법’과 충돌의 연속이었다. 더구나 느닷없이 ‘공정사회’의 기치를 높이 들고 나서는 스스로 자기 발목 잡는 결과를 낳고 말았다. 오죽하면 한나라당도 감사원장 내정자가 ‘부적격 인사’라며 자진 사퇴를 촉구했을까.
임기를 채 2년도 남기지 않은 현 정권의 ‘레임 덕’여부를 놓고 논쟁이 있지만, 인사권의 ‘레임 덕’은 결코 없을듯하다. 앞으로도 불공정하고 부적절한 처신으로 국민의 눈총을 받은 인물들이 ‘청와대 회전문’을 통해 줄줄이 등장할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국민 정서와 어긋나는 인물들로 말이다.
정말이지 다음 대통령은 ‘인사가 만사’임을 보여줄 용병술과‘숨은 인재 발굴’이라는 정치철학을 지닌 지도자, 아울러 국민정서까지도 보듬어 줄 수 있는 ‘통 큰’ 인물을 선출해야 나라가 바로 설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