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자들 돌아오라는 회유,협박 시달려" 정보유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천제지자 작성일14-03-15 12:45 조회2,554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동무, 날래 돌아오라우!”
탈북자들이 협박당하고 있다. 북한 보위사령부 또는 국가안전보위부 소행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주로 밤시간을 이용해 탈북자들에게 전화를 걸어 입북을 강요하고 있다. 신고된 사례만 100여건에 달한다. 입북하지 않으면 가족을 몰살하겠다는 위협이 대부분이다. 위협공포에 전율을 느껴 재입북하는 사람도 있다. 북한이 탈북자 이름과 연락처를 어떻게 캐냈을까. 공안 당국은 협박 전화가 2012년 이후 집중된 점을 주목하고 수사 중이다.
◆“가족이 다친다”
14일 공안당국에 따르면 2012년 이후 최근까지 북한 보위부로부터 협박을 받았다며 탈북자들이 신고한 건수가 100여건에 달했다. “북한으로 돌아오지 않으면 가족들을 가만 놔두지 않겠다”, “반북활동을 하지 말라”, “북한에 돈을 보내라”는 내용이 주류를 이룬다.
협박은 주로 휴대전화를 통해 이뤄졌다. 탈북자 장모씨는 “2012년 7월쯤 어머니의 부탁을 받았다는 한 남자한테서 ‘당신이 재입북해야 정치범 수용소에 수감된 형제들의 목숨을 건질 수 있다’는 전화가 수차례 걸려왔다”며 “발신지는 중국 길림성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또 다른 탈북자 전모씨는 “‘자꾸 공화국 반대 운동을 하면 북한의 가족들을 살려두지 않겠다’는 전화를 받았다”며 “북한 가족들에게 송금도 자주 하라고 요구해 어이가 없었다”고 전했다. 한 탈북자는 “동생이 남한으로 탈출하다가 실패해 보위부에 체포됐는데, 그 사정을 아는 어떤 남자가 수십 번이나 ‘북한으로 돌아오라’는 전화를 해 왔다”고 말했다.
◆탈북자 정보 북한으로 넘어갔나
탈북자 사회는 북한 당국의 집요한 협박에 전전긍긍하고 있다. 대체 어디서 개인 전화번호가 유출됐는지 알 길이 없기 때문이다. 북한에 두고온 가족들 신원까지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을 만큼 정보가 정확하다는 사실에 전율을 느낀다.
협박을 못 이겨 북한으로 되돌아가는 경우도 늘고 있다. 2012년 탈북한 박인숙씨는 “넘어오지 않으면 아들이 죽는다”는 북한 보위부의 협박을 받고 재입북했다. 협박이 통하지 않을 때는 ‘유인조’와 ‘체포조’를 가동해 중국으로 불러 납치하는 방식도 쓰는 것으로 전해졌다.
공안당국은 원래 미미하던 협박전화가 2012년 들어 급증한 사실에 주목하고 있다. 이 시점을 전후해 탈북자 명단이 대량 유출된 것으로 추론하고 있다.
앞서 검찰은 ‘서울시 공무원 간첩’ 사건의 피고인 유우성(34)씨가 2011∼2012년에 탈북자 명단을 대량으로 넘긴 것으로 보고 기소를 했으나, 1심 법원은 ‘명단이 북한에 넘어갔다는 입증이 부족하다’며 유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공안 당국은 탈북자 명단 유출 경위를 추적하는 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북한의 협박을 받은 탈북자들의 명단을 토대로 이들의 공통점을 추려낸 뒤 유출이 발생했을 법한 길목을 찾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북한은 탈북자와 북한 가족들이 연락하는 과정에서 내부 정보가 새어나가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 같다”며 “탈북자들의 입을 막기 위한 방편으로 협박전화를 택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박현준 기자 hjunpark@segye.com
탈북자들이 협박당하고 있다. 북한 보위사령부 또는 국가안전보위부 소행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주로 밤시간을 이용해 탈북자들에게 전화를 걸어 입북을 강요하고 있다. 신고된 사례만 100여건에 달한다. 입북하지 않으면 가족을 몰살하겠다는 위협이 대부분이다. 위협공포에 전율을 느껴 재입북하는 사람도 있다. 북한이 탈북자 이름과 연락처를 어떻게 캐냈을까. 공안 당국은 협박 전화가 2012년 이후 집중된 점을 주목하고 수사 중이다.
14일 공안당국에 따르면 2012년 이후 최근까지 북한 보위부로부터 협박을 받았다며 탈북자들이 신고한 건수가 100여건에 달했다. “북한으로 돌아오지 않으면 가족들을 가만 놔두지 않겠다”, “반북활동을 하지 말라”, “북한에 돈을 보내라”는 내용이 주류를 이룬다.
협박은 주로 휴대전화를 통해 이뤄졌다. 탈북자 장모씨는 “2012년 7월쯤 어머니의 부탁을 받았다는 한 남자한테서 ‘당신이 재입북해야 정치범 수용소에 수감된 형제들의 목숨을 건질 수 있다’는 전화가 수차례 걸려왔다”며 “발신지는 중국 길림성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또 다른 탈북자 전모씨는 “‘자꾸 공화국 반대 운동을 하면 북한의 가족들을 살려두지 않겠다’는 전화를 받았다”며 “북한 가족들에게 송금도 자주 하라고 요구해 어이가 없었다”고 전했다. 한 탈북자는 “동생이 남한으로 탈출하다가 실패해 보위부에 체포됐는데, 그 사정을 아는 어떤 남자가 수십 번이나 ‘북한으로 돌아오라’는 전화를 해 왔다”고 말했다.
◆탈북자 정보 북한으로 넘어갔나
탈북자 사회는 북한 당국의 집요한 협박에 전전긍긍하고 있다. 대체 어디서 개인 전화번호가 유출됐는지 알 길이 없기 때문이다. 북한에 두고온 가족들 신원까지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을 만큼 정보가 정확하다는 사실에 전율을 느낀다.
협박을 못 이겨 북한으로 되돌아가는 경우도 늘고 있다. 2012년 탈북한 박인숙씨는 “넘어오지 않으면 아들이 죽는다”는 북한 보위부의 협박을 받고 재입북했다. 협박이 통하지 않을 때는 ‘유인조’와 ‘체포조’를 가동해 중국으로 불러 납치하는 방식도 쓰는 것으로 전해졌다.
공안당국은 원래 미미하던 협박전화가 2012년 들어 급증한 사실에 주목하고 있다. 이 시점을 전후해 탈북자 명단이 대량 유출된 것으로 추론하고 있다.
앞서 검찰은 ‘서울시 공무원 간첩’ 사건의 피고인 유우성(34)씨가 2011∼2012년에 탈북자 명단을 대량으로 넘긴 것으로 보고 기소를 했으나, 1심 법원은 ‘명단이 북한에 넘어갔다는 입증이 부족하다’며 유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공안 당국은 탈북자 명단 유출 경위를 추적하는 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북한의 협박을 받은 탈북자들의 명단을 토대로 이들의 공통점을 추려낸 뒤 유출이 발생했을 법한 길목을 찾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북한은 탈북자와 북한 가족들이 연락하는 과정에서 내부 정보가 새어나가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 같다”며 “탈북자들의 입을 막기 위한 방편으로 협박전화를 택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박현준 기자 hjunpark@segye.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