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물가가 내리지 않는 이유
페이지 정보
작성자 꿈나무 작성일11-05-26 18:02 조회1,802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오늘 소값 폭락에도 소고기 가격이 안내린다는 뉴스를 보고 든 생각..
저는 강아지를 키우는데,, 강아지털 깍는데, 1만5천원 하는 집이 있었습니다.
가보면, 줄을 길게 쭉 늘어서 있죠.
그러다 가격이 정상(?)으로 올랐는데, 그 이유가, 주변상인들의 협박 때문이었다고 합니다.. 줄은 없어졌구요..
도처에 범람하는 가격담합.
가격담합은 대기업의 문제만이 아니고, 이 사회 전반적인 문제입니다. 가격담합만 없으면, 가격이 많이 내릴 것입니다.. 시장경제질서가 뭔가요. 상인들은 자유롭게 가격을 결정하고, 소비자는 적당한 소비처를 찾는것입니다.. 그러면 수요와 공급의 균형에 의해 적당한 시장가격이 형성되죠.
그런데, 가격담합이 있으면, 그게 안됩니다. 상인들이 스스로 가격을 내리고 싶어도, 협회다, 뭐다 이런걸로 압박이 들어온다고 합니다.
우리 사회에는 이발비는 어딜가도, 1만원이고, 털 깍는것도 어딜가도 가격이 똑같고,,택시비도 똑같고, 그렇습니다.
4개 가게에서 가격이 똑같으면 그럼 고객은 어떻게 유치하나요.. 바로 접대입니다. 이 과정에서 사회가 전반적으로 부패해집니다..
모든 가격담합을 척결해야 합니다.. 자유로운 가격경쟁이 이뤄지도록... 소상인이라고 봐줘선 안됩니다..
저는 강아지를 키우는데,, 강아지털 깍는데, 1만5천원 하는 집이 있었습니다.
가보면, 줄을 길게 쭉 늘어서 있죠.
그러다 가격이 정상(?)으로 올랐는데, 그 이유가, 주변상인들의 협박 때문이었다고 합니다.. 줄은 없어졌구요..
도처에 범람하는 가격담합.
가격담합은 대기업의 문제만이 아니고, 이 사회 전반적인 문제입니다. 가격담합만 없으면, 가격이 많이 내릴 것입니다.. 시장경제질서가 뭔가요. 상인들은 자유롭게 가격을 결정하고, 소비자는 적당한 소비처를 찾는것입니다.. 그러면 수요와 공급의 균형에 의해 적당한 시장가격이 형성되죠.
그런데, 가격담합이 있으면, 그게 안됩니다. 상인들이 스스로 가격을 내리고 싶어도, 협회다, 뭐다 이런걸로 압박이 들어온다고 합니다.
우리 사회에는 이발비는 어딜가도, 1만원이고, 털 깍는것도 어딜가도 가격이 똑같고,,택시비도 똑같고, 그렇습니다.
4개 가게에서 가격이 똑같으면 그럼 고객은 어떻게 유치하나요.. 바로 접대입니다. 이 과정에서 사회가 전반적으로 부패해집니다..
모든 가격담합을 척결해야 합니다.. 자유로운 가격경쟁이 이뤄지도록... 소상인이라고 봐줘선 안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