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벨트는 포항이 좋을듯,,
페이지 정보
작성자 평화분단 작성일11-04-06 23:00 조회1,851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포항엔 3세데 방사광가속기가 운용되고 있고, 4세데 방사광가속기도 설치될 예정이다. 인근 경주에는 양성자가속기가 완공을 눈앞에 두고 있다. 여기에 과학벨트의 핵심인 중이온 가속기가 들어선다면, 포항,경주는 방사광,양성자,중이온 가속기를 동시에 집적시킨 전 세계 유일국이 된다. 시너지가 엄청난 것이다.
막스플랑크는 포항을 선택했다.
막스플랑크 연구소는 노벨사관학교라는 별칭이 있는 연구소인데, 아시아의 연구소를 세우기 위해 여러곳을 검토한 결과 '의외로' 포항을 선택했다. 포항이 외국인이 정주하기에, 연구하기에 좋다는 것이다. 막스플랑크 연구소 유치에는 국내 내노라하는 지역의 연구기관(카이스트, 서울 포함)이 참여했지만, 최종 승자는 포항이었다.. 나는 국내인들의 분석은 믿지 않는다. 한국에는 전문가집단이란게 없고, 사기꾼집단만 있기 때문이다. 막스플랑크의 사례를 볼때, 외국 우수 연구인력을 유치하기 위해 필요하다는 정주여건 연구여건, 이런건 검증이 끝난 문제라고 생각한다.
막스플랑크는 포항을 선택했다.
막스플랑크 연구소는 노벨사관학교라는 별칭이 있는 연구소인데, 아시아의 연구소를 세우기 위해 여러곳을 검토한 결과 '의외로' 포항을 선택했다. 포항이 외국인이 정주하기에, 연구하기에 좋다는 것이다. 막스플랑크 연구소 유치에는 국내 내노라하는 지역의 연구기관(카이스트, 서울 포함)이 참여했지만, 최종 승자는 포항이었다.. 나는 국내인들의 분석은 믿지 않는다. 한국에는 전문가집단이란게 없고, 사기꾼집단만 있기 때문이다. 막스플랑크의 사례를 볼때, 외국 우수 연구인력을 유치하기 위해 필요하다는 정주여건 연구여건, 이런건 검증이 끝난 문제라고 생각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