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 1947년 3월 1일의 총소리(1)
페이지 정보
작성자 비바람 작성일13-03-22 23:58 조회3,886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제주4.3) 1947년 3월 1일의 총소리
1. 1947년 3월 1일의 발포
2. 3.1절 사건의 개요
3. 발포의 과정
4. 3.1절 집회에는 3만 군중이 모였을까
5. 3.1절 발포는 4.3의 도화선인가
6. 3.1절 집회의 정체
7. 3.1절 시위 주인공들의 최후
8. 좌익들의 3.1절 발포사건 숭배
1. 1947년 3월 1일의 발포
4.3폭동이 발발하기 약 1년 1개월 전인 1947년 3월 1일, 남로당은 제주읍 북국민학교에서 3.1절 집회를 개최했다. 그리고 집회가 끝나자 남로당원들은 가두로 진출하여 불법 폭력 시위를 벌이다가 경찰과 충돌하게 되었고 결국 발포 사건이 발생했다.
‘3.1사건’으로 기록된 4.3위원회의 4.3진상보고서에서는 이 사건을 무려 27페이지에 걸쳐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그리고 4.3위원회는 제주4.3의 시작점을 48년 4월 3일이 아니라 47년 3월 1일로 잡고 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3.1절 발포사건은 ‘4.3으로 가는 도화선’ 곧 기점(起點)이 되고 말았다”고 쓰고 있다.
그러나 3.1사건 발포가 4.3폭동의 도화선이 되었다는 주장은 대단히 일방적인 주장이다. 발포사건이 없었더라도 미소와 좌우 이념이 대립하는 한반도의 해방정국에서 4.3폭동이 발생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었다. 4.3폭동이 발생하지 않기 위한 경우의 수는 단 하나, 그것은 남로당이 정권을 잡았다면 가능한 경우였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그 확률은 거의 없었다. 남로당의 정권에 대한 집착, 그래서 폭동은 발발한 것이다.
그렇다면 4.3위원회는 왜 3.1사건을 융숭하게 대접하는 것일까. 가장 큰 이유는 단 하나다. 3.1절 집회에서 경찰의 발포가 있었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4.3폭동이 폭동이 아니라 경찰의 발포에 대한 민중의 저항으로 몰고 가 4.3폭동에 정당성을 부여하려는 의도인 것이다.
다른 하나를 더 꼽자면 당시 3.1절 집회는 남로당이 거국적으로 총력전을 벌여 수많은 인파를 동원하여 3.1집회를 개최했다는 것이다. 3.1절 집회 이후 남로당은 다시는 그런 대대적인 집회를 가질 기회는 없었다. 죽창을 든 괴물이 되었기 때문이다. 좌익정권의 좌익 4.3위원회는 그들의 선배들이 벌였던 3.1집회의 인파를 부각시켜 ‘남로당의 집회’가 아니라 ‘민중들의 항쟁’이라는 이미지를 국민들의 뇌리에 심으려는 의도가 깔려있는 것이다.
4.3폭동은 1948년 4월 3일에 발발하여 마지막 빨치산 오원권이 체포되는 1957년 4월 2일에 끝났다. 4.3폭동은 정확하게 9년 만에 종지부를 찍을 수 있었다. 그러나 4.3특별법에는 4.3의 기간을 1947년 3월 1일부터 한라산의 금족령이 해제되는 1954년 9월 21일까지로 잡고 있다. 꼬리는 자르고 머리는 덧붙인 것이다. 왜 그럴까.
한라산에 금족령이 풀리는 1954년 이후에도 폭도들은 출몰했다. 최후의 잔비 6명이 민가를 습격하여 약탈을 거듭하는 등 투항을 거부하며 저항을 하고 있었다. 이들 중 마지막 4명이 사살되거나 체포된 것은 1957년에 이르러서였다. 이들 최후의 빨치산들은 정확하게 폭도,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었다.
4.3폭동의 기간을 왜곡한 이유는 불리한 것은 숨기고 유리한 것은 확대하는 침소봉대의 전형적인 수법이었다. 4.3에서 순수한 민중투쟁이라거나, 선량한 양민들이었다는 주장은 1954년 이후의 폭도들의 행태 앞에서 무색해진다. 그래서 숨겨야 했다. 그리고 경찰이 발포했던 1947년의 3월 1일은 확대 부풀려야 했다. 그래서 단편소설 몇 편만큼의 분량을 할애하며 거창한 광고에 나선 것이다.
4.3위원회는 4.3진상보고서에서 수많은 사실을 왜곡했다. 그 수많은 왜곡 중에서 가장 큰 5대 거짓말은 남로당 중앙당의 지령, 김익렬의 협상, 오라리 사건, 다랑쉬 사건과 더불어 3.1사건이 그것이다. 4.3진상보고서의 5대 거짓말의 공통점은 폭동의 주체였던 좌익의 죄상을 대한민국과 국군과 우익에게 뒤집어씌우고, 좌익에게는 면죄부를 주고 우익은 범죄자로 몰아가는 것이었다. 노무현 정권의 4.3진상보고서의 목적은 바로 이것이었다.
3.1사건의 왜곡과 과장은 4.3진상보고서의 왜곡의 출발점이 되는 것이다. 4.3위원회는 3.1사건을 다루면서 이 대목에서도 수많은 과장과 왜곡을 일삼았다. 이것은 4.3위원회가 좌경으로 기울어진 제민일보의 ‘4.3은 말한다’를 그대로 베낀 탓도 있었지만, 그 제민일보의 기자들이 4.3위원회 집필진으로 그대로 영입되었기에 제민일보와 4.3위원회는 역사 왜곡과 역사 날조라는 역사의 심판대에 올라설 각오를 해야 할 것이다. 4.3진상보고서 집필단장을 했던 박원순은 서울시장으로 재직하고 있고, 제민일보의 기자들은 4.3진상보고서 작성에 참여한 후 공직에 입신하는 등, 출세가도를 달리고 있다. 역사와 개인영달을 엿 바꿔 먹은 자들이 정권이 교체되었음에도 그들의 신상에는 변화가 없다는 것은 국가의 무능이다.
4.3진상보고서에는 당시 집회 군중을 2만 5천~ 3만 명으로 추산했던 것을 별 검증도 없이 인용했다. 그리고 폭력이 빈발했던 시위를 평화적인 집회라고 주장했고, 발포의 사상자들은 시위대의 일원이었음에도 시위자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3.1사건은 남로당원들의 난동 때문에 발포가 벌어졌음에도 4.3위원회는 평화적인 시위대를 경찰이 오해하여 발포한 것으로 몰아갔다.
그리고 3.1절 발포사건으로 말미암아 4.3이 발발하게 되었다는 4.3위원회의 주장은 그야말로 좌익적 4.3위원회의 역사 날조이자 역사 뒤집기이다. 좌경적 4.3위원회의 일방적이고 편파적인 주장들로 가득찬 4.3진상보고서는 ‘6.25 북침설’에 버금가는 역사 날조의 제주 버전이라고 할 만하다.
이런 엉성한 주장들을 대한민국 정부의 공식 문서로 만드는 일에 국민들의 혈세를 쏟아 부었다니,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4.3위원회에 손해배상을 청구하고 싶고, 역사의 심판대에 4.3위원회를 고발하는 바이다.
비바람 김동일
자유논객연합 회장. 제주자유수호협의회 본부장.
논객넷 http://www.nongak.ne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