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 대통령의 학교 성적표<촌장>
  구미 초등학교(교장 장재규)가 보관중인 박정희의 졸업원부에는  '학업성적'과 '신체상황'이 자세히 기록되어있다. 
  1927년 4월1일부터 1932년 3월25일까지 매 학년마다  기록된 성적은 과목당 10점 만점이 기준이다. 
  박정희의 성적표엔 8점 미만은 전무하다.  박정희의 동창생 박승용(82)은 보통학교시절 성적은 항상  박정희, 김장호(사망), 김홍기(사망), 박 승용 순이었다고 말했다. 
  박정희 성적표에 기재된 과목은 수신, 국어(일본어), 조선어, 산술,  국사(일본역사), 지리, 이과(생물과 물리), 직업, 도화, 창가, 체조, 가사실습 등 12과목에 조행평가가 곁들여 있다. 
  이중 국사, 지리, 이과, 직업, 가사실습은 상급학년(4학년 이상) 에서만 배웠다. 이들 과목은 일본 이 만주사변을 일으키던  1931년부터 내용이 변해 군국주의적 경향을 강하게 드러내고  조선어 사용규제와 일본어 공용 방침을 엄격하게 적용하기 시작한다.  박정희가 졸업할 무렵부터였다. 
  박정희가 6년 동안 가장 성적이 나쁜 과목은 체조였다.  3학년 때 8점, 나머지는 9점이었다. 체조 다음으로 저조한  과목은 창가였는데 5학년 때까지 9점만 받다가  6학년에 와서 10점 만점을 받았다. 
  6학년 때 그의 성적은 13개 과목 중 체조와 가사실습만  9점이었고 나머지는 모두 만점인 10점이었다. 
  박정희가 특히 잘한 과목은 국어(일본어)와 조선어 및 역사와  지리였다. 5,6학년 때는 모두 10점 만점을 기록한 과목들이다. 
  이때가 이순신과 나폴레옹에 심취한 시기로서 이 소년의  역사에 대한 호기심이 하나의 성격으로서 굳어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6년간 그의 조행 평가는 항상 갑으로 기록되어 있다.  비고란엔 1,2, 5,6학년에 우등상을 받았다고 쓰여 있다. 
  학년별로 살펴볼 때 가장 성적이 나빴던 해는 3학년과  4학년 때였다. 3학년(1928년) 때는 10점 만점을 받은  과목이 한 과목도 없고, 9점 과목이 넷, 8점이 셋이었다.  4학년이 되면서 성적은 다시 좋아지기 시작한다. 
  매년 2백51일의 출석 일수 중 개근한 해는 한 번도 없었다.  몸이 아파 결석한 날은 1학년 때 18일, 2학년 20일, 3학년  16일, 5학년1일, 6학년 때 3일이다. 
  4학년 때는 사고로 9일간 결석했다고 적혀있다.  저학년이 던 시절 병결로 기록된 날 가운데 어느 하루는  늑대를 보고 집으로 되돌아간 날이 포함되어 있을 것이다.  고학년으로 갈수록 병으로 결석하는 횟수가 줄어든다. 
  그의 발육상태 기록을 보면 1학년 때 129.9cm이던 키가  6학년 때는 135.8cm로 6년간 겨우 5.9cm가 자랐다고  되어있다.
  체중은 1학년 때 15.4kg이던 것이 6학년에 와서는 30kg이 되었다.  시력과 청력 치아 등 기타 사항은 모두 정상판정을 받지만  신장, 체중 및 가슴둘레를 합산해 발육상태를 평가하는 개평란에는  6년 내내 '병' 판정을 받고 있다. 체조 점수가 저조한 까닭은 그의  발육부진에 있었던 것이다. 
 
  박정희의 학적부에는 '입학 전 경력'으로서 '한문을  수학'이라고 적혀있다. 
  누님 박재희에 따르면 박정희는 학교에 다니면서도 일요일에는  서당에 가서 한문을 배웠다고 한다. 박정희는 일요일에는  교회에도 갔으니 시간을 상당히 충실하게  보내고 있었다는 얘기이다. 
  어머니 백남의는 막내에게 사랑채의 한 방을 공부방으로  내어주었다. 어릴 때부터 '나만의 공간'을 갖고 있었다는  것이 박정희로 하여금 '생각을 많이 하는 사람'으로 만드는  한 요인이었을 것이다. 
  '나만의 공간'은 사교성이 약한 인간으로 만들기도 하지만  자립심을 키우기도 한다. 
  누님의 증언에서 이 소년의 그런 면모를 엿볼 수 있다. 
  "정희가 검정 고무신을 신게 된 것은 5학년 때였습니다.  아버지가 사다주셨어요. 그날 밤 그것을 품에 꼭 안고 자더니  다음날 학교에 갈 때는 짚신을 신고 고무신은 학교에 가서  신는다고 들고 가더군요. 
  정희 는 또 아버지에게 자그마한 갈쿠리와 지게를 만들어  달라고 했어요. 공 일에는 뒷산에 올라가 빨간 갈비를 끌어모아  묶음을 만들어 두어요. 그리곤 아무도 손을 못 대게 해요. 
  이것을 차곡차곡 쌓아두었다가 어머니한테 팔아달라고 해서  돈이 생기면 공책과 연필 따위를 사곤 했습니다.".
 
  |    |